summer.log

[백준] 1816번 (Python) 본문

알고리즘

[백준] 1816번 (Python)

summer@! 2023. 9. 7. 22:18

문제

 

1816번: 암호 키

현대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많은 종류의 암호 시스템에서는, 매우 큰 소수의 곱으로 만들어진 수를 암호 키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. 현실적으로 매우 큰 수를 빠른 시간 내에 소인수분해하는

www.acmicpc.net

문제

현대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많은 종류의 암호 시스템에서는, 매우 큰 소수의 곱으로 만들어진 수를 암호 키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. 현실적으로 매우 큰 수를 빠른 시간 내에 소인수분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.

물론 실제 생활에서는 수십만 또는 수백만 자리 이상의 매우 큰 소수가 활용되지만 그러한 소수를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, 우리는 좀 더 스케일이 작은 경우에 대해서만 생각해 보기로 하자. 1,000,000=106

보다 큰 소수이면 매우 큰 소수로 생각하는 것이다.

어떤 수 S가 주어지면, 이 수가 우리가 생각하는 스케일이 작은 경우에서 적절한 암호 키인지 아닌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만일 S의 모든 소인수가 106보다 크다면 그 수는 적절한 암호 키이고,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적절하지 못한 암호 키가 된다.

입력

첫째 줄에는 수의 개수 N (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확인하고자 하는 수 S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

출력

N개의 줄에 걸쳐, 입력받은 수가 적절한 암호 키이면 YES, 아니면 NO를 순서대로 출력한다.

제한

  • 1 ≤ N ≤ 10
  • 1012 ≤ S ≤ 1018

예제 입력 1

3
1000036000099
1500035500153
20000000000002

예제 출력 1 

YES
NO
NO

 

풀이

소인수 : 인수들 중 소수를 의미

1을 제외한 모 약수가 106보다 크면 적절한 비밀번호

 

n = int(input())
list = []
for _ in range(n):
    s = int(input())
    for i in range(2, 1000001):
        if s % i == 0:
            list.append("NO")
            break
        if i == 1000000:
            list.append("YES")
            break

print(*list, sep='\n')

1. 약수는 기본적으로 1과 자기 자신이 있다.

2. 백만까지만 검사해서 그 중에 약수가 있으면 -> break

3. 2부터 1,000,000 까지 하나씩 탐색하며 조건과 비교 -> 완전 탐색 이용

4. 소인수가 106보다 크다면 그 수는 적절한 암호 키이고,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적절하지 못한 암호 키

    -> 기준이 백만. 백만까지만 검사하고 걸리는게 없다면 무조건 YES

    -> i가 백만에 도달했다면 통과했다고 생각하면 됨

 

 
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2503번 (Python)  (0) 2023.09.08
[백준] 19532번 (Python)  (0) 2023.09.07
[백준] 14568번 (Python)  (0) 2023.09.07